장경인대증후군 무릎 바깥쪽이 아프다면?
날씨가 좋아지면서 산에 오르거나 자전거 타기 등 야외활동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.
최근에 운동량이 늘어나면서 무릎 바깥쪽에 통증이 있지만 병원에 가기까지는 심하지 않은 통증이 발생되었다면
'장경인대증후군'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. 장경인대증후군은 일반적으로 운동선수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
알려져 있습니다. 최근 자전거를 즐겨 타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일반인들에게도 흔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.
장경인대는 골반부터 무릎까지 이어진 넓고 강력한 인대로 운동을 할 때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.
장경인대증후군은 무릎을 펴고 굽힐 때 몸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장경인대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서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선척적으로 다리가 O자일 경우, 양쪽의 다리 길이가 차이 날 경우, 바깥 부분이 심하게 닳은 신발을 신는 경우, 자전거를 자주 타는 경우, 운동 전에 스트레칭을 적절하게 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위험이 큽니다.
해부학적 이상, 과사용이 주요 원인이라 볼 수 있습니다.
장경인대증후군 증상
운동 후 무릎 바깥쪽에 찌릿한 통증이 들고 부기가 나타난다면 장경인대증후군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.
눕거나 앉아서 무릎을 굽혔다가 폈다를 반복할 때 통증이 유독 심하고 오르막길보다도 내리막길에서의 무릎에 더 큰 통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. 더불어 무릎 주위에 발적, 열감, 마찰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가장 쉬운 자가진단법으로 무릎을 30도 정도 굽힌상태에서 무릎 바깥쪽을 눌러보고 통증이 유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장경인대증후군 진단 및 치료
진단은 이학적 검사로 가능합니다.
그러나, 외측 반월상 연골판이나 외측 연골 손상일 경우에도 증상이 비슷할 수 있어 MRI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. 장경인대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통증을 유발하는 운동이나 활동을 중단하셔야 합니다.
그리고 찜질과 마사지를 통해 진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조치를 취햇음에도 불구하고 2~3일 안에 완화되지 않는다면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.
장경인대증후군은 거의 대부분 비수술적인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. 약물치료, 주사요법, 체외충격파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 염증이 아주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로 염증 부위의 물혹이나 활액막 등을 제거하는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.
장경인대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준비운동과 운동 전, 후 스트레칭이 중요합니다.
그리고 충격 흡수가 잘되는 쿠션이 좋은 신발을 착용하며 경사가 있는 곳 보다 평지에서 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.